여름철 서울 지하철 냉방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
31일 오전 7시 30분, 신분당선 상현역에서 탑승한 한 여성은 양손바닥으로 팔을 비비기 시작했습니다.
냉방기가 작동 중인 지하철 내부에서 찬기를 느낀 것입니다.
임산부석에 앉은 또 다른 여성은 옷을 걸치고 있었습니다.
기자 역시 에어컨 바람이 머리 위로 쏟아질 때마다 강한 찬기를 느꼈습니다.
30대 직장인 김모(여)씨는 “출퇴근 시 지하철 내부가 굉장히 추운 편”이라며 “늦은 퇴근길에는 사람들도 많지 않아 더욱 춥다”고 토로했습니다.
지하철 기관사의 하소연
서울 지하철 기관사 A씨는 “여름철이면 ‘냉방을 좀 세게 해달라’는 요구와 ‘냉방이 너무 세다’는 상반된 민원 탓에 골머리를 앓는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최근 지하철 냉방기 가동이 시작되면서 승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아직 한여름이 아닌데도 지하철 냉방기가 가동돼 승객들이 추위를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
민원 폭증, 냉·난방 문제가 절반
실제로 수도권 광역 전철에서 연간 100만 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되는 가운데, 민원의 절반은 냉·난방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이 지난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서울교통공사·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광역 전철 관련 민원은 2020년 91만4788건에서 2021년 94만5532건, 2022년 106만1643건으로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작년 8월까지 가장 많이 접수된 광역철도 민원은 냉·난방으로, 전체 민원의 52%(210만5008건)를 차지했습니다.
지하철 냉방 온도 기준의 문제점
지하철 냉방을 둘러싼 민원이 끊이질 않는 것은 실내 온도 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냉방 온도를 24∼26도 사이에 두도록 권하는데, 현실과 거리가 있다고 합니다.
서울 지하철 관계자는 “승객이 많으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21∼22도에 맞춰 놓고 운행하는 편”이라며 “하지만 승객이 붐비는 출퇴근 시간에는 가장 강하게 냉방을 가동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추운 승객은 객실 중앙 약냉방석이나 약냉방칸으로 이동하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버스의 냉방 문제
실내온도 기준이 따로 없는 버스의 경우 승객 요구에 맞추기 힘들어 무조건 ‘18도 강냉방’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50대 주부 김모씨는 “에어컨 공기가 차가워서 머리가 아플 정도”라며 “명확한 대중교통 실내온도 규정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대중교통 냉방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지하철과 버스에서의 냉방 문제는 단순히 온도 조절의 문제가 아니라, 승객의 건강과 편의에 직결된 중요한 사안입니다.
첫째로, 지하철과 버스의 실내 온도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준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승객들이 일관된 온도 환경에서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둘째로, 승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냉방 시스템을 도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칸은 강냉방, 다른 칸은 약냉방으로 구분하여 승객들이 자신의 선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셋째로, 냉방기 사용에 대한 교육과 안내를 통해 승객들이 냉방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승객들의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수렴하여 냉방 시스템을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쾌적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냉방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나은 대중교통 환경을 위해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